001. 파이썬 주요 개념 용어 단어
기존에 개발을 접해봤던 사람이 아니고서야, 파이썬을 처음 접하는 사람(나)에게는 이게 무슨 말이지 싶은 단어들이 더러 있었음.
정리 차원에서 강의나 책에서 본 파이썬 용어와 개념을 간단히 작성하였음.
변수
변수는 영어로 Variable (베어리어블)이라고 함.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이는 개념임.
강의에서는 호텔을 예시로 들었음.
호텔 건물 = 컴퓨터, 변수 = 호텔의 각 방, 그 방에 이름을 붙임 = 변수를 선언함.
a = 1 # 101호
b = 2 # 102호
c = a + b # 103호
- a = 1 → 101호에 "1"이라는 값을 적고, 그 방 이름을 "a"라고 이름 붙임
- b = 2 → 102호에 "2"라는 값을 적고, 이름을 "b"라고 이름 붙임
- c = a + b → 103호에서 101호(a)와 102호(b)를 참고해서 값을 계산한 후, 그 결과(3)를 적고 이름을 "c"라고 붙임
호텔 안에서 서로 다른 방(변수)들이 있고, 필요할 때마다 다른 방에 들어가서 값을 꺼내거나 조합하는 식임.
변수 선언
변수 선언하다를 Declare variable (디클레어 베어리어블)이라고 함.
변수를 만든다는 의미, 내가 원하는 이름을 정하고 (예시 : a), 그 안에 어떠한 값을 담는 것 (예시 : 1).
주석
주석은 영어로 Comment (코멘트)라고 함.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를 적는 부분.
실행되지 않으며 작성 시 # 기호로 시작함.
- 예: # 102호
같이 일하는 사람(또는 미래의 나...!)이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도와줌.
표현식
표현식은 영어로 Expression (익스프레션)이라고 함.
어떤 값을 만들어내는 간단한 코드 조각을 의미함.
- 예 : 1, 2, 2 + 3, "마라탕", a * b
그 자체로 실행 가능한 문장은 아니어서 출력을 하거나 저장하지 않으면 그냥 지나가는 것임.
문장
문장을 영어로 Statement (스테이트먼트)라고 함.
컴퓨터에게 뭔가 지시할 때 쓰는 한 줄짜리 코드임.
- 예 : a = 10, print("hello")
하나의 동작 또는 실행 단위를 구성함.
파이썬 프로그램은 이런 문장들이 모여서 만들어짐.
프로그램
프로그램(Program)은 여러 개의 문장 모여서 하나의 전체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묶음을 말함.
즉 표현식이 모여서 문장, 문장이 모여서 프로그램이 됨.
파이썬 파일 하나를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음.
키워드
키워드(Keyword)는 파이썬에서 이미 이렇게 사용하겠다고 예약해서 의미가 부여된 단어들임.
- 예 : if, for, True, None, def, class
이것들은 이미 파이썬이 특정 기능과 연결해놨기 때문에 변수나 함수 이름으로 쓸 수 없음.
와중에 True는 키워드라 변수, 함수 이름으로 쓸 수 없는데, true는 쓸 수 있음.
키워드인지 아닌지 확인해야할 경우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무슨 키워드가 있는지 확인 가능함.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 출력 결과 예시 : ['False', 'None', 'True', 'and', 'as',..., 'yield']
출력
코드의 실행 결과를 화면에 보여주는 행위.
파이썬에서는 print() 함수를 사용하며 괄호 안에 출력하고 싶은 것을 나열함.
- 예: print("마라탕 먹고 싶다") → 실행 시 화면에 "마라탕 먹고 싶다"가 출력됨.
식별자
식별자는 영어로 Identifier(아이덴티파이어)라고 함.
변수 또는 함수, 클래스에 붙이는 이름으로 사용되며, 값을 부르고 관리하기 위해 붙여주는 것임.
- 예 : user_name, get_data
키워드는 사용 불가능함.
숫자 사용 가능, 근데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됨.
특수 문자는 언더 바(_)만 허용되는데 공백 대신 사용함.
한글, 한자 같은 다른 언어도 사용 가능하지만, 알파벳을 사용하는 것이 관례임.
변수 선언과 식별자는 관련이 있지만 아래의 차이점이 있음.
a = 10
용어 | 개념 | 예시 |
식별자 (identifier) | 이름 그 자체 | a |
변수 선언 (declare variable) | 이름(식별자)을 만들고 값도 저장하는 동작 | a = 10 |

캐멀 케이스 (camelCase)
단어가 바뀔 때마다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 방식.
- 예: userName, getTotalPrice
파이썬에서는 주로 클래스에 사용.
글자들이 낙타 같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라고 함.
스네이크 케이스 (snake_case)
단어를 모두 소문자로 쓰며 단어와 단어 사이를 언더바(_)로 연결해서 식별자를 만드는 방식.
- 예 : user_name, get_total_price
파이썬에서는 변수명 또는 함수명 등에 주로 사용함.
글자들이 뱀처럼 연결된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라고 함.
일단 여기까지 써야겠음.